신용등급 점수표, 신용점수 올리는방법
개인신용평가회사에서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기준 신용점수입니다. 과거에는 신용등급 이라고 불리웠지만 2018년 1월 이후 현재의 방식으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과거에 신용등급으로 불리던것이 변경어서 현재는 신용점수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활용되는 지표는 2가지 신용점수 평가기관 입니다. 나이스(nice)나이스와 올크레딧(kcb) 가 대표적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용점수는 연체유무, 통신사 개통, 대출 ,신용카드, 금리 등 금융생활을 함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평소 꾸준한 관리를 한다면 급할 때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습니다.
간혹 연체를 하게 된다면 신용점수가 하락하기도 하지만, 올리기는 내려가는것과 비교하면 쉽지 않은것이 사실 입니다. 채무상환, 소득 증가, 적정 수준의 카드이용등이 있습니다.
과거 신용등급은 1등급부터 10등급 까지 분류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점수제로 변경이 된 만큼 과거의 등급은 의미가 없고 참고 자료로 활용을 하는 정도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나이스(nice) 기준 입니다.
1등급 900~1000
2등급 870~ 899
3등급 840~869
4등급 805~839
5등급 750~804
6등급 665~749
7등급 600~664
올크레딧(kcb) 기준입니다.
1등급 942~1000
2등급 891~941
3등급 832~890
4등급 768~831
5등급 698~767
6등급 630~697
7등급 530~629
이번 포스팅 에서는 신용등급 점수표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양한 요인들이 있지만 현재 기준으로는 점수 정도만 활용하는데 이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현금서비스 사용하지 않기, 고위험 부채부터 빨리 갚아 나가기, 연체 하지 않기, 신용카드 한도 40% 이상 사용하지 않기. 정도만 주의 하시면 등급을 올리는데도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금융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 비상금대출 조건부터 신청 방법까지! (0) | 2025.02.17 |
---|---|
카카오뱅크 전세퇴거자금대출 신청 방법 및 조건 (0) | 2025.02.15 |
신혼부부 전세대출 버팀목·중기청·주택도시기금 차이점 정리 (0) | 2025.02.15 |
카드값 한달연체 두달연체 했을때 현명한 대처방법 (0) | 2017.08.07 |
미즈사랑 인터넷 자동대출 (0) | 2016.11.09 |